2024 근로장려금 신청방법과 조건 그리고 지급액과 지급일까지

이 글의 요약

2024 근로장려금 신청방법과 조건 그리고 지급액과 지급일까지
아래 내용에서 자세히 확인하세요 ▼

근로장려금신청

5월 1일부터 시작되는 근로장려금 정기 신청 기간이 다가왔습니다.
근로장려금은 일을 하고 있지만 소득이 높지 않아 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계층들에게 지급되는 특별한 지원금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러한 근로장려금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특히, 2024년 근로장려금 신청기간과 조건, 지급일 및 지급금액에 대한 세부 정보를 정확하게 정리하여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근로장려금 정기 신청을 계획하고 계신 분들은 이 포스팅의 정보를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이 정보를 통해 근로장려금 신청 과정을 원활하게 진행하고, 지원금을 성공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도와드리고자 합니다.

아래 내용을 확인해서 꼭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글의 순서


근로장려금 신청은 지난 3월1일 부터 15일까지 2023년 하반기 소득을 기준으로 지급되는 근로장려금 신청은 종료가 되었고 이번에 5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2023년 전체 소득을 기준으로 한 근로장려금 정기 신청 기간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근로장려금 신청기간 정리표

대상자산정 대상신청 시기
근로소득자2024년 상반기 소득24년 9월 1일~ 15일
근로/사업/종교인 소득자2023년 1년간 소득24년 5월 1일 ~ 31일

본인이 근로소득만 존재한다면 정기 혹은 반기 둘 중하나를 선택해서 신청할 수 있으며 다만 반기 신청을 하면 정기는 신청이 불가능 합니다.

근로소근 이외에 사업소득이나 종교인 소득이 있다면 이번 정기 신청기간에 신청해야 합니다.

정기 신청시 근로장려금 조건에 대해 확인해 보겠습니다.
2023년 1년동안 근로소득과 사업소득 혹은 종교인 소득이 존재하는 가구로써 총소득과 재산 기준 그리고 가구 유형의 조건등을 충족하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지원대상_icon

가구 유형 조건

아래 가구 유형의 종류 중 하나만 해당되면 조건에 충족하게 됩니다.

단독가구 : 배우자, 부양자녀(18세 미만), 70세 이상 직계존속이 없는 가구
홑벌이 가구 : 배우자의 총급여액이 3백만원 미만, 배우자가 없어도 부양자녀(18세미만) 또는
70세 이상 직계존속 (각각의 연간 소득금액이 100만원 이하이고 주민등록상 동거가족으로 생계를 같이 해야함)
맞벌이 가구 : 거주자 및 배우자의 각각 총급여액이 3백만원 이상인 가구

icon_07

총 소득기준

2023년 부부합산 연간 총소득이 가족 구성원에 따라 정해놓은 총소득기준금액의 미만이여야 신청조건의 충족합니다.

단독가구는 2200만원
홑벌이 가구는 3200만원
맞벌이 가구는 3800만원

근로장려금으로 지급되는 지급액이 얼마가 되는지에 대한 계산을 하는 기준인 총 급여액 같은 경우 근로소득과 사업소득, 종교인 소득 3가지의 항목을 더한 금액으로 산정되어 진행되며 이자 및 연금 배당금과 같은 기타소득은 계산에서 제외가 됩니다.

지원형태_icon

자산 기준

2023년 6월 1일을 기준으로 가구원 전원이 소유하고 있는 주택, 토지, 건물, 예금 등의 총 재산 합계금액이 2억 4000만원 미만이여 하고 주택과 토지, 건축물, 전세보증금 및 금융재산, 유가증권 등등 모든걸 포함한 합계금액입니다.

앞서 안내한 근로장려금 조건에 모두 충족했다면 1가구 당 1명의 근로장려금이 지급됩니다.

다만 지급액은 조금씩 차이가 있으며 단독가구는 최대 165만원, 홑벌이 가구는 285만원, 맞벌이 가구는 최대 330만원까지 지급액이 지원되며 정기신청이나 반기신청 시 한번에 받거나 2번에 나누어 받을것인지를 선택하게 되는겁니다.

다만 가족구성원의 모든 재산 합계금액이 1억7000만원이상 2억 4000만원 미만인 경우에는 실제 지급되는 근로장려금의 50%가 차감된 후 지급되며 신청 기간이후 신청을 하거나 국세 체납액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전체 산정된 지급액에서 차감되어 지급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지급일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곧 신청일이 되는 5월 정기 근로장려금을 신청하신다면 올해 8월 말까지 100% 지급이 되며 신청기간이 지난 후 신청할 경우에는 신청일로부터 4개월 이내에 지급이 되지만 원래 지급액에 5%가 차감되어 지급된다는 점을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https://youtu.be/TmP74WkMLzI

유용한 정보였나요?

별점을 알려주세요!

평균 별점 5 / 5. 투표 수 234

별점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별점을 알려주세요!

함께 볼 만한 글

error: Content is protected !!